이미지
  • 이미지

커뮤니티 >

"ESG 못 맞추면 납품하지 마세요"…당장 발등에 불 떨어진 철강업계

[땅집고] 산업용 부품을 만드는 연 매출액 3000억원대 중견기업 D사는 요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ESG는 지속가능경영을 하는데 핵심적인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를 말한다. D사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글로벌 고객사로부터 ESG 관련 요청이 끊이지 않는다”고 했다. 2021년 11개 발주처가 D사에게 ESG 평가를 요청했다. 지난해 27곳에 이어 올해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글로벌 1위 농기계제조사인 존디어는 ‘에코바디스’라는 평가기관으로부터 ESG 등급을 받아오라고 요구했다. “등급이 낮으면 협력사에서 빼겠다”고 했다. 볼보와 아우디, 폭스바겐은 ‘드라이빙 서스테이너빌리티’ 같은 공급망 실사평가 결과를 의무 보고하라고 했다. D사 관계자는 “처음에는 너무 당황스러웠다”며 “공급망실사법이 의무화하는 분위기여서 글로벌 기업도 이에 맞추느라 협력업체에게 ESG를 요구하고 있다”고 했다.

 

우리나라는 2025년 ESG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있지만 유럽과 미국에서는 1~2년전부터 ESG 규제를 시작했다. 국내 수출 기업에게는 이미 현실이 된 것이다. 대부분 경영진은 “실무부서가 알아서 하면 되겠지”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최근 대법원 판례를 보면, ESG 리스크 관리 실패에 따른 법적 책임을 경영진이 떠안을 수도 있다.

땅집고와 법무법인 율촌, ESG전문미디어 임팩트온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EO·CSO(최고지속가능성책임자)·사외이사를 위한 ESG 최고위 과정’을 개설한다. 강사로 나설 이민호 율촌 ESG연구소장과 윤용희 율촌 변호사로부터 기업이 반드시 알아야 할 ESG 흐름을 미리 들어봤다.

 

◇해수면 리스크에 집값 하락…보험가입도 거절

ESG 중 기후변화는 기업 재무 리스크와 직결되는 중요한 이슈다. 이 소장은 “포스코가 겪은 힌남노 수해는 상상하지 못했던 사건”이라며 “기후변화 재난은 블랙스완(가능성이 낮지만 엄청난 파급력을 지니는 것)처럼 나타난다”고 밝혔다. 미국 마이애미 발하버 일대 고급주택 가격은 2016년 대비 7.6% 하락했는데, 해수면 상승 리스크 때문이었다.

 

기후변화 탓에 글로벌 보험업계 손실액이 지난해에만 1000억달러(약 1320조원)을 넘어서자, 세계 2위 재보험사인 스위스리는 ‘넷제로 선언’을 하지 않는 석유화학업체의 보험가입을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넷제로(Net Zero)란 탄소를 배출한만큼 거둬들여 제로로 만든다는 의미다.

당장 우리 기업 중 발등에 불이 떨어진 업종은 철강과 시멘트다. 이 소장은 “유럽의 탄소가격은 1t당 10만원대인데, 이보다 더 싸게 제품을 생산하면 차액만큼 탄소관세를 내야 한다”면서 “결국 한국의 탄소가격(1t당 2만원대)보다 6~7배 원가가 높아진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대(對) EU 수출 품목 중 철강(1523개), 알루미늄(186개), 비료(2개) 관련 약 1700개 제품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ESG 공시 준비 이미 시작…협력사도 잘 챙겨야

ESG 공시 의무화 역시 CEO가 챙겨야 할 핵심 사안이다. 국내 의무화 시점은 2025년부터다. 그러나 온실가스배출량 등은 2~3년치 데이터를 공개해야 하기 때문에 공시 준비는 이미 시작됐다고 봐야 한다. 윤 변호사는 “이미 자본시장에서 ESG 관련 성과 조작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면서 “현행 법에서도 ESG 관련 불성실 공시에 대해 벌점 등 제재가 가능하고 손해배상책임도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지금까지 기업이 자율 발행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ESG보고서)에 대한 제3자 검증 절차도 의무화할 가능성이 높다.

‘공급망 실사 의무화 법안’은 국내 기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올 2월 자회사인 스마트 앨라배마를 포함한 협력업체 2곳의 지분을 매각한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7월 현대차 납품업체 10여곳에서 아동노동 관련 위반 의혹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미국 백악관까지 문제를 제기하자, 핵심 협력업체 지분을 매각한 것이다. 공급망 리스크가 본사까지 전이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협력업체 관리가 중요해졌다.

윤 변호사는 “EU는 10여년전부터 ‘글로벌 공급망에 대한 인권실사 의무화’ 법안을 추진했고 영국(2015년), 프랑스(2017년) 등에서는 공급망 실사 의무화를 이미 시행 중”이라며 “글로벌 공급망을 무대로 활동하는 한국 기업은 글로벌 수준의 ESG 리스크 관리와 성과를 보여줄 수 없으면 경쟁우위를 얻을 수 없다”고 했다.

<CEO·CSO(최고지속가능성책임자), 사외이사를 위한 ESG 최고위 과정>

땅집고와 율촌, 임팩트온이 마련한 ‘CEO·CSO(최고지속가능성책임자), 사외이사를 위한 ESG 최고위 과정’에선 ESG 경영 경험이 풍부한 국내 최고 전문가들이 기업 지배 구조와 글로벌 ESG 트렌드, 경영 전략, 실제 사례 등을 중점적으로 소개한다. 유연철 UNGC 사무총장, 박란희 임팩트온 대표(ESG전문 매체), 국제탄소시장 감독기구 위원을 맡은 오대균 서울대 객원교수, 이한상 고려대 교수(한국회계기준원장), 이민호 율촌 ESG 연구소장 등 11명의 전문가가 ESG 해법을 제시한다.

 
 
이미지